활성 산소, 빛, 염증, 통증은 거의
동시에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빛을 이용하는 질환
치료에 해당되는지 안되는 지는 특정 부위를 눌러 통증을 찾아내면 됩니다. 통증이 있으면 본 치료에 해당되며
통증을 찾아내지 못하면 본치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먼저 본인이 아파하는 통증
부위를 확인합니다.
본인의 손가락과 아픈 곳이
직각이 되게 한 뒤, 손가락으로 수직으로 꾹 눌러 보면 환자가 아프다고 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고, 해당 부위를 살살 비벼 보아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d41d8310ab781.jpg)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ed9160514613a.jpg)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0cc5838a0c368.jpg)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아픈 곳만 붙이는 것입니다. 아픈 곳만 붙이지 말고 주변도 같이 눌러 보아 아픈 곳을 잘 찾아내야 됩니다.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염증이 잠재해 있기 대문입니다.
주관절 통증 즉 엘보우를
눌러볼 부분을 예르 들어보겠습니다
즉 팔꿈치 안쪽 혹은 바깥쪽만
아프다 하더라도 안쪽 바깥쪽, 팔꿈치 위아래 모두를 눌러보아 찾아내고 아픈 곳에 붙입니다. 가급적 아픈 부위보다 더 넓게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찾아내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본인 스스로 진단하려면 아프기 때문에 살살 누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가락, 손목, 무릎 관절 등을 진단할 때도 아픈 부위를 중심으로 맞은편
부위, 좌우, 상하 부위를 찾아내고 붙여야 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a33142f31a00b.jpg)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aa6fdd9b64d00.jpg)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7c4981c97b033.jpg)
![](https://cdn.imweb.me/upload/S20191014d03bb65b73620/69f4b4f1c6c78.jpg)
기본적으로 통증을 찾아내
치료하는 방법입니다만 이런 치료법은 다른 증상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저리다는 증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저린 증상이 디스크로
인해 온 건지 Trigger Point로 인해 온 건지 단순한 근육의 긴장이나 좌골신경통으로 온 건지
알기 어렵습니다. 손가락이 저린 것도 수근관 증후군으로 온 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가장 간단한 진단법은 통증을
찾아내는 방법 그대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팔이 저린데 아무리 눌러도 아픈 곳을 찾지 못하면 경추 디스크
혹은 담석증 등으로 판단할 수 있어 본 치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허벅지 통증도 마찬가지입니다. 허벅지 부분을 눌러 아픈 곳을 찾아내면 허리 디스크나 협착증이 아니며, 근육의
긴장 혹은 허벅지 뼈의 염증으로 진단되어 본 치료법이 적용됩니다. 손 저림도 수근관 증후군으로 올 경우
손가락을 아무리 눌러 보아도 아픈 곳을 찾아낼 수 없으나 손가락 자체에 염중이 있는 경우 통증이 나타나고 통증이 있는 곳에 본 치료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다른 사람보다 통증이
잘 생기고 잘 낫지 않고 여러 군데가 동시에 아픈 사람이 있습니다. 일반 진통제보다 수백 배 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엔도르핀이 몸에서 잘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잘 나오지 않는 이유는 신경성으로
인해 신경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기고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엔도르핀이 잘 나오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러군데가 동시에
아프거나, 자주 아프거나 적절한 치료를 했는데도 잘 낫지 않는 경우 신경성 치료를 겸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신경성 진단 참고)
활성 산소, 빛, 염증, 통증은 거의 동시에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빛을 이용하는 질환 치료에 해당되는지 안되는 지는 특정 부위를 눌러 통증을 찾아내면 됩니다. 통증이 있으면 본 치료에 해당되며 통증을 찾아내지 못하면 본치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먼저 본인이 아파하는 통증 부위를 확인합니다.
본인의 손가락과 아픈 곳이 직각이 되게 한 뒤, 손가락으로 수직으로 꾹 눌러 보면 환자가 아프다고 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고, 해당 부위를 살살 비벼 보아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아픈 곳만 붙이는 것입니다. 아픈 곳만 붙이지 말고 주변도 같이 눌러 보아 아픈 곳을 잘 찾아내야 됩니다.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염증이 잠재해 있기 대문입니다.
주관절 통증 즉 엘보우를 눌러볼 부분을 예르 들어보겠습니다
즉 팔꿈치 안쪽 혹은 바깥쪽만 아프다 하더라도 안쪽 바깥쪽, 팔꿈치 위아래 모두를 눌러보아 찾아내고 아픈 곳에 붙입니다. 가급적 아픈 부위보다 더 넓게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찾아내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본인 스스로 진단하려면 아프기 때문에 살살 누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가락, 손목, 무릎 관절 등을 진단할 때도 아픈 부위를 중심으로 맞은편 부위, 좌우, 상하 부위를 찾아내고 붙여야 됩니다.
기본적으로 통증을 찾아내 치료하는 방법입니다만 이런 치료법은 다른 증상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저리다는 증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저린 증상이 디스크로 인해 온 건지 Trigger Point로 인해 온 건지 단순한 근육의 긴장이나 좌골신경통으로 온 건지 알기 어렵습니다. 손가락이 저린 것도 수근관 증후군으로 온 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가장 간단한 진단법은 통증을 찾아내는 방법 그대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팔이 저린데 아무리 눌러도 아픈 곳을 찾지 못하면 경추 디스크 혹은 담석증 등으로 판단할 수 있어 본 치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허벅지 통증도 마찬가지입니다. 허벅지 부분을 눌러 아픈 곳을 찾아내면 허리 디스크나 협착증이 아니며, 근육의 긴장 혹은 허벅지 뼈의 염증으로 진단되어 본 치료법이 적용됩니다. 손 저림도 수근관 증후군으로 올 경우 손가락을 아무리 눌러 보아도 아픈 곳을 찾아낼 수 없으나 손가락 자체에 염중이 있는 경우 통증이 나타나고 통증이 있는 곳에 본 치료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다른 사람보다 통증이 잘 생기고 잘 낫지 않고 여러 군데가 동시에 아픈 사람이 있습니다. 일반 진통제보다 수백 배 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엔도르핀이 몸에서 잘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잘 나오지 않는 이유는 신경성으로 인해 신경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기고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엔도르핀이 잘 나오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러군데가 동시에 아프거나, 자주 아프거나 적절한 치료를 했는데도 잘 낫지 않는 경우 신경성 치료를 겸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신경성 진단 참고)